반응형
코스피, 코스닥 월별 상승, 하락율 알아보기
흔히 어떤 개인적인 장사던 사업이던, 더크게는 산업이던 간에
대부분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계절성을 나타내기 마련이다.
이는 주식시장에도 어느정도 반영되서
계절, 혹은 월별로 증시의 분위기로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두 지수인 KOSPI, KOSDAQ이
월별로 어떤 상승, 하락률을 나타내었는지 문득 궁금해져서
정리를 한번 해 보았다.
코스피
Google docs에서 작업을 하였는데
지수 데이터가 2010년 10월부터 있어서
2011년 이후의 데이터로 정리를 하였다.
보통 연초에 장이 좋다고들 많이 얘기하던데
그게 확연히 보이는 것 같다.
대체로 1~4월엔 장이 좋은듯
올해 4월엔 3월에 장이 코로나때문에 폭망해서 그 기저효과도 있겠지만
어쨋든 만약에 4월에만 투자를 했다면 22.2%의 수익률을 가졌을 것
7, 9월은 10번 투자를 하면 각각 7, 8번은 수익이 나는 달이였다
그리고 10월부터 해서 12월까지는 대체로 장이 안좋아지는듯
코스피는 연간 투자계획을 짠다면
1~4월까지는 본격적으로 하고
5~6월 잠시 쉬었다가
7~9월까지 바짝 또 하고
연말은 쉬는 전략이 매크로 관점에선 괜찮을 듯
코스닥
코스닥은 확실히 전반적인 느낌이 코스피보다는 변동성이 큰 느낌이다.
좋을땐 더 좋고 안좋을땐 확실히 더 안좋은 모습을 확연히 보여주는 듯
코스닥은 6~11월 정도만 조심하면.. 12월부터 5월까진 대체로 좋은듯 하다.
아직까진 월별로 신경써서 현금화하고 그렇게 해보질 못했는데
앞으론 좀 해봐야겠다
반응형
'주식투자 > 시장, 산업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삼성전자 역사적 신고가!ㄷㄷ 이시점에 증시 투자자예탁금, 신용거래융자 체크 (0) | 2020.11.27 |
---|
댓글